default_top_notch
default_news_top
default_news_ad1
default_nd_ad1

장수지역 가야봉화터 발굴조사 확인!

기사승인 2021.07.05  15:32:51

공유
default_news_ad2

- 장수 침곡리 봉화터 목제 집수시설, 소성유구 등 발견

<사진자료: 장수군 제공, 상부 조사지역 원경, 하단 좌측 접수시설 출토유물, 하단 우측 소성 유구 전경>

장수군은 침곡리 봉화터에서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목제 집수시설 1기와 소성유구 1기가 확인됐다고 2일 밝혔다.

장수군에 따르면 장수군은 호․영남 화합과 상생의 장을 마련하고 장수가야 역사 재정립을 위해 문화재청(청장 김현모)허가를 받아 ‘전북지역 가야문화유산 연구복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조선문화유산연구원(원장 이택구)이 발굴 조사하고 있는 ‘장수 침곡리 봉화’의 발굴조사에서 침곡리 봉화터에서 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목제 집수시설 1기와 소성유구 1기가 확인됐다.

발굴현장은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침곡리 산20번지다.

이번 확인된 목제 집수시설은 나무틀을 만들고 벽에 점토를 채워 축조되었는데 물이 암반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시설로 드러났다.

집수시설은 평면 장방형으로, 규모는 가로 3.4m, 세로 3.1m, 깊이 2.2m이다.

집수시설의 축조방법을 보면 산정상부 평탄면에 암반을 2.8m 깊이로 굴착한 후, 바닥에 50~60㎝ 두께로 점토를 채웠다.

이 후 벽면에 점토를 채워 넣기 위해 목재를 ‘井’자형으로 결구한 후 판재를 덧대어 벽을 만들고 벽 안쪽으로 100㎝ 두께의 점토를 채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축조 방법은 백제 웅진기 수도였던 공산성, 금산 백련산성, 이천 설성산성 등 백제권역의 산성에서 확인된 바 있으며, 공산성에서 확인된 시설은 규모와 형태에서 침곡리 봉화터에서 발견된 집수시설과 매우 유사하다.

또한 이번 조사를 통해 집수시설 안에서 발형토기, 고배편 등 삼국시대 토기 출토 등의 성과를 거뒀다.

침곡리 봉화터에서 발견된 목제 집수시설은 전국적으로도 희소성이 있으며 삼국시대 목조건축의 특징과 축조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관련 전문가에 따르면 “침곡리 봉화터에서 발견된 집수시설은 공주 공산성의 목곽고와 매우 유사하고 6C 전반에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며 “봉화 사용을 위한 주둔군의 식수와 생활용수 확보를 위한 집수시설로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백종기 기자 baekjk0@hanmail.net

<저작권자 © 축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5
default_side_ad1
default_nd_ad2
ad37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ide_ad4
default_nd_ad6
default_news_bottom
default_nd_ad4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